솔 (노르드 신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솔은 노르드 신화에 등장하는 태양의 여신이다. 문딜포리의 딸로, 신들에 의해 태양을 끄는 마차를 운행하는 역할을 맡았다. 스코르라는 늑대에게 쫓기며, 라그나로크 때에는 늑대에게 삼켜질 운명이나, 라그나로크 이후에는 딸이 태양의 역할을 이어받는다. 솔은 고대 게르만 및 인도유럽 신화의 태양 신들과 어원을 공유하며, 숭배와 관련하여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양의 여신 - 하토르
하토르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하늘, 태양, 사랑, 아름다움, 풍요, 음악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암소 또는 암소 머리를 가진 여성으로 묘사되며 이집트 전역과 해외에서도 숭배되었다. - 태양의 여신 - 파시파에
파시파에는 그리스 신화에서 태양신 헬리오스와 페르세의 딸이자 미노스 왕의 아내로, 흰 소에 대한 욕망으로 미노타우로스를 낳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달 또는 태양 여신으로 숭배받기도 하고 현대 문화에서 다양한 영감을 주는 존재로 재해석된다. - 아쉬냐 - 이둔
이둔은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젊음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젊음을 유지하는 사과를 관리하며, 로키에게 납치당하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아쉬냐 - 요르드
요르드는 북유럽 신화에서 대지의 여신으로 신격화되었으며 토르의 어머니이자 오딘의 아내 중 하나로, 흐로딘, 피요르귄 등으로도 불리는 "땅, 대지"를 의미하는 단어이다. - 여신 - 에오스트레
에오스트레는 게르만 신화의 봄과 새벽의 여신으로, 앵글로색슨족은 4월을 에오스트레의 달이라 부르며 축제를 열었고, 이름은 '빛나다'라는 뜻에서 유래했으며, 현대 영어의 'Easter'와 부활절 토끼, 오스타라 축제 등과 관련된다. - 여신 - 에우리알레
에우리알레는 내용이 없는 빈 페이지이다.
솔 (노르드 신화)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 |
로마자 표기 | Sol |
게르만어족 | 태양 |
역할 | 태양의 여신 |
관련 신화 | 북유럽 신화 |
가족 관계 | |
부모 | 문딜파리 |
형제자매 | 마니 |
배우자 | 글렌 |
자녀 | 이름 없는 딸 |
특징 | |
거주지 | 하늘 |
탈것 | 일차 |
말 | 아르바크 알스비드 |
2. 신화
《스노리 에다》 제1부 《귈피의 속임수》 11~12장에 따르면, 문딜포리라는 사람이 아름다운 두 아이의 이름을 각각 솔(태양), 마니(달)이라고 지었다. 신들은 이 오만함에 분노하여 이들을 하늘로 올려 아르바크르와 알스비드르라는 말이 끄는 태양 마차를 몰게 했다. 신들은 무스펠하임의 불똥으로 세상을 비추기 위해 마차를 만들었고, 말들을 식히기 위해 어깨 아래에 풀무를 달았다.[20]
솔은 스코르라는 늑대에게 쫓겨 결국 잡히게 되지만, 라그나로크 이후에는 솔의 딸이 태양의 길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한다.[24][25]
《고 에다》의 《그림니르의 노래》 39절에서는 태양을 "하늘의 신부"라고 부르며,[21] 《바프스루드니르의 노래》 47절에서는 태양의 운행을 "엘프의 영광"을 의미하는 "알프로둘"이라 칭한다.[22] 또한 《그림니르의 노래》 38절에는 대지와 태양 사이에 스발린이라는 방패가 있어 태양열로부터 대지를 보호한다고 묘사되어 있다.[23]
2. 1. 메르제부르크 주술문

고대 고지 독일어로 기록된 두 개의 메르제부르크 주술문 중 하나인 "말 치료 주문"에는 수나(Sunna)가 언급되어 있으며, 신트군트라는 자매가 있다고 한다. 이 주술문에는 폴(Phol)과 오딘(Wodan)이 숲으로 말을 타고 갔는데, 거기서 발두르의 망아지가 발을 삐었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신트군트와 그녀의 자매 수나, 프리가와 그녀의 자매 풀라, 그리고 마지막으로 오딘이 주문을 외웠고, 이어서 망아지의 뼈가 치료되는 과정을 묘사하는 구절이 나온다.[2]
2. 2. 에다
《볼루스파》에서 죽은 볼바는 변장한 신 오딘에게 우주의 역사와 미래를 이야기하면서, 우주의 초기 시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남쪽에서 온 태양, 달의 동반자,
> 그녀의 오른손은 하늘의 말들을 감쌌네.
> 태양은 그녀가 어디에 살 곳이 있는지 몰랐고,
> 달은 그가 어떤 힘을 가지고 있는지 몰랐고,
> 별들은 그들이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몰랐네.[3]
《바프스루드니르마을》에서 신 오딘은 요툰 바프스루드니르에게 태양과 달의 기원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바프스루드니르는 문딜파리가 솔과 마니의 아버지이며, 그들은 인간을 위해 매일 하늘을 지나가며 년도를 세어야 한다고 답한다.[5]
《바프스루드니르마을》의 한 연에서 오딘은 펜리르가 현재의 태양을 공격한 후 어디에서 다른 태양이 올 것인지 바프스루드니르에게 묻는다. 바프스루드니르는 다른 연에서 알프뢰들(솔)이 펜리르에게 공격받기 전에 라그나로크의 사건 이후 어머니의 길을 따를 딸을 낳을 것이라고 말한다.[7]
《그림니르마을》의 한 연에서 오딘은 태양("빛나는 신"이라고 불림)앞에 스발린이라는 방패가 있으며, 만약 방패가 정면 위치에서 떨어진다면 산과 바다가 "불타오를 것"이라고 말한다.[8] 39절에서 오딘(그림니르로 변장)은 태양과 달 모두 하늘에서 늑대들에게 쫓긴다고 말한다. 태양은 하늘의 "밝은 신부"라고 불리며 스콜에게 쫓기고, 달은 하티 흐로도비트니손에게 쫓긴다.[8]
《알비스마을》에서 신 토르는 드워프 알비스에게 태양에 대해 질문하며, 각 세계에서 태양을 무엇이라고 부르는지 묻는다. 알비스는 인간에게는 "태양"이라고, 신들에게는 "태양빛"이라고, 드워프에게는 "드발린의 속이는 자"라고, 요툰에게는 "영원한 빛"이라고, 엘프에게는 "사랑스러운 바퀴"라고, 그리고 "에시르"의 아들들에게는 "모두 빛나는 자"라고 답한다.[9]
솔은 《산문 에다》의 책인 《길피의 속임수》에서 언급되며, 《볼루스파》의 5절에서 인용된 8장에서 처음 등장한다. 《길피의 속임수》의 11장에서, 길피 왕은 하이에게 해와 달이 어떻게 운행되는지 묻는다. 하이는 솔이 문딜파리의 두 자녀 중 하나이며, 그 아이들이 매우 아름다워 해(솔)와 달(마니)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고 설명한다. 문딜파리는 솔을 글렌르라는 남자와 결혼시켰다.[18]
하이는 신들이 "이 오만함에 분노했다"고 말하며 신들이 그 둘을 하늘에 올려놓았다고 말한다. 거기서 아이들은 아르바크르와 알스비드르가 끄는 해의 마차를 몰게 되었다. 하이는 신들이 세상을 무스펠하임의 불타는 숯 조각에서 나오는 빛으로 비추기 위해 마차를 만들었다고 말한다. 말들을 식히기 위해 신들은 말들의 어깨 아래에 두 개의 풀무를 놓았고, "같은 지식에 따르면" 이 풀무는 이사른콜(Ísarnkol)이라고 불린다.[10]
《길피의 속임수》의 12장에서, 간글레리는 하이에게 해가 마치 무언가를 두려워하는 것처럼 매우 빠르게 움직이며, 자신의 죽음을 두려워해도 더 빨리 갈 수 없을 것이라고 말한다. 하이는 "그녀가 그렇게 빠르게 움직이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그녀를 쫓는 자가 가까이 오고 있으며, 그녀가 도망갈 곳은 달리는 것 외에는 없습니다."라고 대답한다. 간글레리는 누가 그녀를 쫓느냐고 묻고, 하이는 두 마리의 늑대가 솔과 마니를 쫓는다고 대답한다. 첫 번째 늑대인 스코르는 솔을 쫓고, 그녀의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스콜은 결국 그녀를 잡을 것이다. 두 번째 늑대인 하티 흐로드비트니손은 솔보다 앞서 마니를 쫓아갈 것이고, 하티 흐로드비트니손은 또한 그를 잡을 것이다.[10] 35장에서, 하이는 솔의 여신으로서의 지위를 빌과 휴키와 함께 언급한다.[11]
53장에서 하이는 라그나로크 이후 솔의 유산은 그녀보다 덜 아름답지 않은 딸에 의해 이어질 것이며, 딸은 그녀가 한때 탔던 길을 따를 것이라고 말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바프스루드니르마우》 47절이 인용된다.[12]
《시어의 언어》에서, 솔은 93장에서 처음 등장하며, 그녀에 대한 케닝 "문딜페리의 딸", "마니의 여동생", "글렌의 아내", "하늘과 공기의 불"이 주어지며, 11세기 시인 스쿨리 토르스테인손의 작품의 발췌문이 이어진다.
> 글렌의 신성한 침실 동반자
> 그녀의 신성한 성소로 발걸음을 옮기네
> 밝음으로; 그러면 좋은 빛이 내려오네
> 회색 옷을 입은 달의 빛.[13]
56장에서 솔의 추가적인 이름이 주어진다; "데이-스타(day-star)", "디스크(disc)", "에버-글로우(ever-glow)", "올-브라이트 씬(all-bright seen)", "페어-휠(fair-wheel)", "그레이스-샤인(grace-shine)", "드발린의 장난감", "엘프-디스크(elf-disc)", "다우트-디스크(doubt-disc)", "루디(ruddy)"[14] 58장에서 말 목록 다음에, 아르바크와 알스비드르는 해를 끄는 말로 나열되고,[15] 75장에서 솔은 다시 여신 목록에 포함된다.[16]
《스노리 에다》 제1부 《귈피의 속임수》 제11장 - 제12장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20]
- 문딜포리라는 남자가, 자신의 두 아이가 너무 아름다운 나머지 딸에게 솔(태양), 아들에게 마니(달)라는 이름을 붙였다. 신들은 이에 분노하여 두 사람을 붙잡아 태양을 끄는 마차의 마부로 삼았다. 솔은 태양의 운행을, 마니는 달의 운행과 차고 기우는 것을 맡는다.
- 말의 이름은 알바크 ("일찍 일어남"의 뜻), 알스비드 ("쾌속"의 뜻)라고 하며, 몸을 차갑게 하기 위한
풀무 가 달려 있다. - 태양은 항상 스코르라는 늑대에게 쫓기고 있기 때문에, 서둘러 운행해야 한다.
《고 에다》의 《그림니르의 노래》 제39절에서는, 태양이 "하늘의 신부"라고 불리고 있다.[21] 또한 《바프스루드니르의 노래》 제47절에서는, 태양의 운행은 "알프로둘"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이는 "엘프의 영광"을 의미한다.[22]
『그림니르의 노래』 제38절에는, 대지와 태양 사이에 스베르라는 방패가 서 있으며, 그것이 태양의 엄청난 열을 대지로부터 막아주고 있다고 한다.[23]
『귈피의 속임수』 제51장이 말하는 바에 따르면, 라그나로크 때, 태양은 결국 늑대에게 삼켜진다.[24] 그러나 동 제53장 및 앞서 언급한 『바프스루드니르의 노래』 제47절에서, 솔이 라그나로크 전에 아름다운 딸을 낳았으며, 새로운 세계에서는 그 딸이 태양의 궤도를 돈다고 한다.[25]
3. 어원
학자들은 여신으로서의 솔이 노르드어 ''Sól'', 산스크리트어 ''수르야'', 고대 브리튼어 ''술리스'', 리투아니아어 ''사울레'', 라틴어 ''솔'', 슬라브어 ''차르 솔니체''와 같이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여러 언어에서 어원적 연결 고리를 가지므로, 더 오래된 원시 인도유럽어족 신의 확장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17] 솔의 이름은 인도 신화의 수리야, 갈리아 신화의 수리스, 리투아니아 신화의 사울레, 슬라브 신화의 차르 솔니체와 어원이 같다.
4. 숭배
학자들은 솔이 노르드어 ''Sól'', 산스크리트어 ''수르야'', 고대 브리튼어 ''술리스'', 리투아니아어 ''사울레'', 라틴어 ''솔'', 슬라브어 ''차르 솔니체'' 사이의 인도유럽어족 언어적 연결을 고려하여, 더 오래된 원시 인도유럽어족 신의 확장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17]
루돌프 시메크는 북유럽 청동기 시대의 암각화와 트룬홀름 태양 전차와 같은 고고학적 발견이 청동기 시대 스칸디나비아인들에게 태양이 생명을 주는 천체로 여겨졌다는 충분한 증거를 제공하며, 태양은 항상 어느 정도의 숭배를 받았을 것이라고 말한다. 시메크는 태양의 의인화를 보여주는 유일한 증거는 고대 고지 독일 주문 참조와 ''고대 에다'' 시에서 비롯되며, 이 두 가지 참조 모두 게르만 태양 숭배를 추정할 만큼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고 말한다. 시메크는 "반면에" 청동기 시대부터 중세 시대까지 빈번하게 발생하는 종교적 관행에서 태양 상징과 배의 조합은 의인화된 태양이 아닌 (바니르 신인 뇨르드 또는 프레이르와 같은) 다산 신과 관련된 종교적 관행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고 가정한다.[19]
5. 현대적 해석
학자들은 솔이 노르드어 ''Sól'', 산스크리트어 ''수르야'', 고대 브리튼어 ''술리스'', 리투아니아어 ''사울레'', 라틴어 ''솔'', 슬라브어 ''차르 솔니체'' 사이의 인도유럽어족 언어적 연결을 고려하여 더 오래된 원시 인도유럽어족 신의 확장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17]
노르드 신화에서 솔의 의인화와 관련하여, 존 린도우는 "하늘을 가리키는 '태양의 전당'과 같은 케닝조차도 케닝 형성 규칙을 고려할 때 의인화를 시사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한다. 시에서 오직 ''바프스루드니르말'' 시에서 솔과 관련된 연만 여신의 의인화가 확실하며, "솔이 여성이고 마니가 남성인 것은 명사의 문법적 성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솔은 여성이고 마니는 남성이다."라고 설명한다. 린도우는 태양이 더 오래된 스칸디나비아 종교 관행의 초점이었던 것처럼 보이지만, 노르드 신화의 현존하는 자료에서 태양을 중심 역할에 배치하는 것을 주장하기는 어렵다고 말한다.[18]
루돌프 시메크는 북유럽 청동기 시대의 암각화와 트룬홀름 태양 전차와 같은 고고학적 발견이 청동기 시대 스칸디나비아인들에게 태양이 생명을 주는 천체로 여겨졌다는 충분한 증거를 제공하며, 태양은 항상 어느 정도의 숭배를 받았을 것이라고 말한다. 시메크는 태양의 의인화를 보여주는 유일한 증거는 고대 고지 독일 주문 참조와 ''고대 에다'' 시에서 비롯되며, 이 두 가지 참조 모두 게르만 태양 숭배를 추정할 만큼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고 말한다. 시메크는 "반면에" 청동기 시대부터 중세 시대까지 빈번하게 발생하는 종교적 관행에서 태양 상징과 배의 조합은 의인화된 태양이 아닌 (바니르 신인 뇨르드 또는 프레이르와 같은) 다산 신과 관련된 종교적 관행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고 가정한다.[19]
참조
[1]
서적
Orchard
1997
[2]
서적
Lindow
2001
[3]
서적
Thorpe
1907
[4]
서적
Bellows
1923
[5]
서적
Thorpe
1907
[6]
서적
Bellows
1923
[7]
서적
Larrington
1999
[8]
서적
Larrington
1999
[9]
서적
Larrington
1999
[10]
서적
Byock
2005
[11]
서적
Byock
2005
[12]
서적
Byock
2005
[13]
서적
Faulkes
1995
[14]
서적
Faulkes
1995
[15]
서적
Faulkes
1995
[16]
서적
Faulkes
1995
[17]
서적
Mallory
1989
[18]
서적
Lindow
2001
[19]
서적
Simek
2007
[20]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1]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2]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3]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4]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5]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